원본과 통섭-유리알 유희 Integration – The Glass Bead Game
Hermann Hesse’s The Glass Bead Game presents a profound reflection on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art, and philosophy. Through Joseph Knecht’s lifelong pursuit of harmony, Hesse explores how intellect and creativity converge into a higher form of enlightenment. This essay interprets the “game” as a symbolic union of music and thought — a metaphor for the human quest for synthesis and transcendence. Ultimately, it invites readers to consider death not as an ending, but as the final, most complete expression of life’s philosophical and artistic fulfillment.
헤세의 ‘유리알 유희’를 읽었다.
I recently read The Glass Bead Game by Hermann Hesse.
‘요제프 크네히트’라는 유리알 유희 명인의 일대기를 그린 전기문을 닮은 소설이다. 이 소설을 이렇게만 말하면 간단한데, 그 제목부터가 진입 장벽이 높다. 과연 유리알은 무엇이고, 그것의 유희는 또 무엇을 뜻한단 말인가.
It is a novel that resembles a biography, tracing the life of Joseph Knecht, a master of the Glass Bead Game. Though this description sounds simple enough, even the title presents a formidable threshold. What are these “glass beads,” and what does their “game” truly mean?
유리알 하나하나는 일종의 심상이나 이데아를 생각해야 한다. 하지만 어릴적 놀던 구슬치기가 그렇듯, 하나의 유리알로 노는 것은 재미가 없다. 복수의 유리알들을 가지고 놀아야 재미가 있다. 일종의 심상들을 가지고 여러 개를 조화를 이뤄가면서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는 것이 유리알 유희라고 할 수 있다.
Each bead can be thought of as a symbol — an image, or even an idea. But just as a single marble offers little joy to a child at play, a single bead alone cannot make a game. The true art lies in bringing many of these beads together — harmonizing multiple ideas, weaving them into new forms of creation. That, perhaps, is the essence of the Glass Bead Game.
소설에서 크네히트가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대상은 바로 음악이다. 음악은 분명 들으면서 인간으로 하여금 무엇인가를 느끼게 한다. 동시성과 즉각적인 소멸. 이것이 음악의 속성이다. 때문에 음악은 단순한 예술이 아니라 인간들과 집단을 제어할만한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고 있다. 학문의 정수(精髓)는 단 하나의 길이 있는 것이 아니다. 모든 학문 간의 경계를 넘어서 다리를 놓고 이것의 통섭이 음악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표현들은 숫자와 음표 혹은 다른 부호 대신 유리알을 사용한다. 즉 지적인 것과 예술의 정수로, 분할된 학문 및 예술들과의 통섭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For Knecht, music is the most precious form of this art. Music, by its nature, makes us feel something. It is simultaneous and ephemeral — existing only in the moment it is heard. Because of this, Hesse suggests that music is not merely an art form but a powerful force capable of guiding and transforming both individuals and societies. The essence of scholarship does not lie in one narrow path but in transcending boundaries — bridging disciplines through synthesis, much like music itself. In the game, glass beads replace numbers, notes, or symbols — embodying the unity of intellect and art, and the integration of divided fields of human knowledge.
크네히트는 유리알 유희 악기로 유희를 펼치는데, 그 소리는 청량하고 맑고 밝다. 그의 마음 속에 음악의 가장 아름다운 속성이 내재해 있고 그 속성은 그의 선조대부터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것이다. 거기에 그의 지식과 예술적인 깊이가 더해지면서 결국 유리알 유희 명인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When Knecht performs the Game, its sound is described as pure, bright, and crystalline. Within him resides the most beautiful essence of music, a gift inherited from generations past. With his intellectual depth and artistic insight, he eventually rises to become a true master of the Game.
흥미롭게도 유리알 유희는 ‘유희’라는 말처럼 크고 왁자지껄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다. 해마다 유리알 유희의 날이면 사람들은 엄숙하고 진지한 마음으로 유희자들의 연주를 감상하고 행사에는 깊은 명상의 시간도 포함을 한다. 사실 우리 마음 속의 유희라는 것은 그렇게 대단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유희가 깨달음의 기쁨, 더 높은 차원의 진입의 기쁨이라고 정의한다면, 그리고 그 기쁨을 진정으로 아는 사람이라면 이런 유리알 유희의 날과 같은 행사는 진정한 놀이의 날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terestingly, the “game” in The Glass Bead Game is not a grand or boisterous spectacle. Each year, on the Day of the Game, people gather in solemn reverence, listening to the performances in deep contemplation. Perhaps our own sense of “play” is not so different. If play is the joy of enlightenment — the delight of entering a higher realm of understanding — then such a day could indeed be called a true celebration of play.
크네이트는 헤겔을 옹호하는데, 차원을 올라가는 깨달음의 기쁨이라는 점에서 무척 타당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정밥합은 완벽한 세계였다’라고 한다. 그리고 그 ‘정반합’을 위해서는 반드시 위대하고 아름다운 원본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 원본은 바로 깊은 학문에 대한 정진과 예술 작품에 대한 조예라고 말하고 싶다. 그를 토대로 합의 지경을 열정적으로 꿈꾸는 자가 바로 크네이트이다. 그는 그 지경에 대한 열정을 영원한 발전, 영원한 초월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Knecht aligns himself with Hegel’s philosophy, finding meaning in the joy of ascending through dialectical synthesis. “Thesis–antithesis–synthesis,” he believes, represents a perfect world. To reach that synthesis, one must first understand and revere the great and beautiful originals — the profound pursuit of knowledge and the refined appreciation of art. To dream passionately of that realm of synthesis is Knecht’s calling, and he insists that this passion must become an eternal drive — a continuous transcendence.
한계를 정하는 것은 인간의 숙명이다. 인간의 가장 큰 숙명은 바로 죽음이라면, 크네이트는 그것마저도 합의 지경에 이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니 좀더 기쁘게 그 순간을 맞이할 수 있지 않을까. 병과 노쇠의 정반합이 아닌, 가장 충일한 상태를 꿈꾸는 한 인간의 가장 원숙한 상태, 그래서 더더욱 마음 가볍게 우리는 죽음에 이를 수 있지 않을까.
To define limits is humanity’s destiny. If death is the greatest of all human destinies, Knecht views even that as a form of synthesis — the final harmony. Perhaps, then, we can meet that moment with serenity: not as a negation brought by illness or decay, but as the most fulfilled state of being — a mature soul’s final play, light and free.
작은 땅의 야수들-사랑의 다른 형태 Beasts on a Small Land- A Different Kind of Love
A reflection on Kim Ju-hye’s Beasts of a Small Land, exploring love, memory, and survival amid Korea’s turbulent modern history. Through Ok-hee’s quiet strength and the intertwined lives around her, the essay reveals another form of love that endures time.
김주혜의 소설 ‘작은 땅의 야수들’을 읽었다. 제목이 주는 귀염성 때문에 판타지 소설인가 했는데, 쓸 것도 많고 할 말도 많은 한국의 근대사에 대한 이야기였다.
I read Beasts of a Small Land by Kim Ju-hye. Drawn by the charm of its title, I first imagined it to be a fantasy novel. Yet what unfolded was a profound and layered story about Korea’s turbulent modern history—a subject both vast and full of untold voices.
한 사냥꾼의 이야기에서 글의 포문을 연다. 여러가지 인물의 이야기가 얼기설기 섥혀있는데, 이 사냥꾼은 이 고된 운명의 엇갈림의 서막이다. 그의 기원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그가 어디서 낳고 자랐으며 어떻게 하여 식구를 꾸리고 그 험한 산 속에서 생계를 이어 나가는 지는 자세히 나와있지 않다. 호랑이를 놓치고 쫓아내는 과정과 일본군에 의해서 이용 당하고 죽을 뻔했던 일들은 앞으로 펼쳐질 인물들의 다양한 인생의 서사를 시작하게 하는 단초이다.
The novel opens with the story of a hunter. Various lives intersect and intertwine, and this hunter marks the prologue of their fateful entanglement. His origins are of little importance. We are not told where he was born, how he built a family, or how he survived in the harsh mountains. What matters is his encounter with a tiger—how he loses and chases it, how he is exploited and nearly killed by Japanese soldiers. These events become the spark that sets the intertwined destinies of the other characters in motion.
Image sourced from the Kookje Newspaper.
호랑이는 이제는 전래동화에서나 나오는 포악하면서 인간의 말을 들을 줄 아는 전설 속의 동물이다. 우리가 예의 그 동물원의 호랑이를 떠올리면 그 영험한 기운을 찾을 수는 없고 그저 가녀린 맹수일 뿐이다.
The tiger, once a fierce yet sentient creature from old folktales, now exists only as a legend. When we picture the caged tiger at a zoo, that mystical aura is gone—what remains is merely a fragile beast.
그리고 옥희의 이야기로 이어진다. 실질적인 주인공인 옥희는 점점 나이를 먹으면서 그 총명하고 헤아림이 깊으면서도 무척 아름다운 인물로 묘사된다. 친구인 연화와 대조를 이루면서 두 사람은 다르게 묘사가 되는데, 옥화는 세상을 받아들이고, 이해하고, 그것을 내면에서 직조하고 곱씹으면서 더 깊게 이해하는 인물이다. 그녀의 성장기에 연화를 바라보면서 그녀 스스로는 정작 무엇을 원하는지조차 몰랐다고 하면서, 끊임없이 세상에 호기심을 가지고 두려움 없이 자신의 존재를 남에게 보일 줄 아는 연화의 성정을 자신과 비교하는 부분이 나온다.
Then comes Ok-hee’s story. As the true protagonist, she grows into a woman of remarkable intelligence, empathy, and beauty. In contrast, her friend Yeon-hwa embodies a freer, more expressive nature. While Yeon-hwa is unafraid to show her curiosity and emotions to the world, Ok-hee is introspective and observant, weaving her understanding of the world quietly within herself.
비록 옥희가 처음에는 기생집 청소부로 일하려고 했다가 기생이 된 농사꾼의 장녀이지만, 조용하고 탐색하는 그녀의 기질이 어쩌면 기생과 어울리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 스스로는 자신의 기질과 재능을 발견하고 발전시켜가면서 이 소설 전체에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주인공이 된다. 헤아릴 줄 알고, 솔직하고 꾸밈없고, 감정을 내비칠 줄 아는 옥희.
Born the eldest daughter of a farmer, Ok-hee first seeks work as a cleaner at a gisaeng house, only to become a gisaeng herself. Her contemplative temperament seems at odds with that life, yet she discovers her own gifts and becomes the emotional core of the novel. Thoughtful, candid, and unpretentious, Ok-hee lives with an honesty that defines her.
그런 그녀가 일생을 사랑하던 남자, 한철. 힌철은 섬세하고 이지적인 남자로, 풋풋한 청년의 사랑을 아낌없이 옥희에게 주었으나, 출세 지향적인 인물이었다. 애초에 기생 출신의 옥희를 사랑의 대상으로만 보고 그 사랑을 사회적으로 당당하게 이끌어내지 못했다.
She loves Han-cheol, a delicate and intellectual man who gives her his youthful affection but cannot overcome his social ambition. Though he loves her, he cannot openly claim her—a woman of gisaeng background—as his equal.
그리고 어릴적부터 그녀 주위를 빙빙 돌던 남정호. 뜻한 바가 뭔지 모르고 오로지 옥희에 대한 희생이 진정한 자신의 삶의 길이라고 믿은 그는 이명호라는 독립운동가를 만나 자신의 의(義)를 알게 된다. 결국은 해방 이후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게 되지만, 옥희에 대한 연정과 그로 인해 얻게 된 삶의 동력을 모래시계 속을 날아다니는 꿈으로 묘사를 함으로써 삶과 죽음의 차이가 아무것도 아닌 것임을 깨닫는다.
And then there is Nam Jeong-ho, who has orbited Ok-hee since youth. Not knowing what purpose to pursue, he believes that sacrificing himself for her is the truest path for his life. Meeting the independence activist Lee Myung-ho, he discovers a greater sense of righteousness. Though he ultimately meets his end after liberation, his love for Ok-hee and the life force it gives him are described like a dream flowing through an hourglass—a realization that the divide between life and death is but an illusion.
글에는 많은 인물들의 서사를 담아냈다. 특이한 것은 3인칭 소설이지만, 각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는 각 인물들의 성품, 교양, 교육 정도가 묻어 나온다는 것이다. 특히 남정호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그랬다. 오로지 생존본능만을 가지고 상경한 한 소년이 이리저리 길거리에서 부딪히며 살아가는 장면은 남정호 그 자체를 묘사하기 위해 애썼다.
The novel contains many stories, each voice distinct. What is remarkable is that, though written in the third person, the narration reflects each character’s background—their education, temperament, and worldliness. This is especially true for Nam Jeong-ho. His survival as a boy wandering the streets of Seoul is depicted with vivid realism, revealing his very essence.
이 소설은 많은 이야기를 닮아있다. 그것은 한국의 근대사가 그토록 잔인하였지만 그것을 살아내는 인간들은 다른 시대의 인간들과 마찬가지로 희로애략(喜怒哀樂)을 겪었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울림과 안타까움을 준다.
This work mirrors the essence of Korean modern history—its cruelty and its humanity. Despite the brutality of the era, the people within it lived through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just like those in any other time. It is this universality that moves readers and fills them with quiet sorrow.
희로애락 중에 사랑 애(愛)가 없기에 소설 속 한 학생이 옥희에게 묻는다. 왜 사랑은 없는가. 아니다. 옥희는 말한다.
In one scene, a student asks Ok-hee, “Why is there no love in this story?”
She replies:
삶은 견딜 만한 것이다. 시간이 모든 것을 잊게 해주기 때문에.
그래도 사람은 살아 볼만한 것이다.
사랑이 모든 것을 기억하게 해주기 때문에.
Life is bearable because time makes us forget.
But it is still worth living—because love makes us remember.
from my phone

